구조 설계 및 시방서/케이블교량
주탑부 케이블 정착 시스템
마구자바
2021. 5. 22. 23:39
반응형
분리 정착형
- 주탑 단면 내에 여유공간 형성으로 점검 용이
- 케이블 인장력으로 인해 PS 강재 및 철근 등으로 정착부 보강 필요
분리 정착형 (교차정착)
- 케이블 교차 정착을 위해 주탑 단면 내부는 충실단면
- 케이블 교차 정착으로 주탑 단면의 비틀림 검토 필요
분리 정착형 (Steel framing)
- Steel Frame으로 케이블 인장력 분담으로 주탑 콘크리트의 응력 감소
- PS 강재 등 정착부 보강재 감소 가능
- Steel Frame 제작에 따른 제작비 및 공기 증가 우려
관통 고정 정착 (Saddle Type)
- 주탑을 관통하여 케이블 정착
- Saddle 위의 케이블이 미끌림 발생하지 않도록 고정필요
- 케이블의 최소 휨 반경에 따라 주탑형상 제약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