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교량구조설계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교량구조설계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86)
    • 구조 설계 및 시방서 (66)
      • 재료구조역학 (4)
      • 하중 (4)
      • 콘크리트 (6)
      • 철근 (3)
      • 강구조 (4)
      • 내풍 (3)
      • 내진 (9)
      • 철근콘크리트 (6)
      •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 (5)
      • 프리캐스트콘크리트 (2)
      • 구조물, 교량 (5)
      • 케이블교량 (5)
      • 토목구조기술사 (1)
      • 받침, 신축이음, 기타 (6)
    • 시공관련 (3)
    • CAD (1)
    • EXCEL (9)
      • EXCEL (0)
      • VBA (9)
    • HTML (2)
      • HTML (0)
      • CSS Style (1)
      • php excel (0)
      • Plotly (1)
    • Algorithm (4)
    • 컴퓨터관련 (1)
  • 방명록

구조 설계 및 시방서/구조물, 교량 (5)
PSM 교량 특징과 설계시 유의사항

PSM 정의 구조물을 여러개의 작은 세그먼트나 블록으로 분할하고, 인장재를 이용하여 결합하여 가설하는 공법. BCM(Balanced Cantilever Method), Small segment / Full span segment 방법이 있음. PSM 특징 공장제작하므로 품질관리가 우수함 가설속도가 빠름 (경간당 2~5일 소요) 동바리가 필요없으므로, 계곡, 하천 및 형하공간에 제약이 있는 경우 적용 가능 초기투자비용(제작장, 몰드 및 런칭장비 등)으로 약 1.5~2.0km 이상의 규모에서 경제적 고난이도 시공관리 요구됨 세그먼트 이음부에서 철근이 불연속하므로 인장응력에 제약 세그먼트 이음부 에폭시 사용시 혹한기 사용 어려움 PSM 설계시 유의사항 세그먼트 제작 세그먼트 Lifting 및 야적시 세그먼트 ..

구조 설계 및 시방서/구조물, 교량 2021. 7. 4. 10:31
교량 진동 특성

교량 진동 특성 차량 등에 의한 활하중, 풍하중 및 지진하중으로 진동 진동으로 피로하중 유발 하중의 진동수와 구조물 고유진동수가 유사하여 공진할 경우, 피해 발생 가능 차량하중에 의한 진동 도로교의 노면조도, 교량진입부의 미끄럼방지 포장과 신축이음부 단차 등 차량 통과시 동적효과 발생 동적효과로 인해 정적차량 하중에 의한 응력보다 더 큰 응력 발생 교량의 내하력과 피로저항능력이 감소 및 교량상판의 피로파손의 원인 부재두께, 감쇠비, 교량의 질량을 고려할 때, 콘크리트교 보다 강교가 진동피해에 취약 풍하중에 의한 진동 장경간의 교량에서 풍하중의 영향이 큼 와류진동 및 버펫팅 효과에 따른 강제 진동 갤로핑 및 플러터 등의 자발진동(진폭이 늘어나거나 줄어들지 아니하고 지속되는 진동) 단면 형상 등의 영향으로 ..

구조 설계 및 시방서/구조물, 교량 2021. 5. 17. 23:32
교량 형식별 형고비, 적용지간장

교량 형식별 형고비 및 적용지간장은 아래 표와 같다.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

구조 설계 및 시방서/구조물, 교량 2020. 2. 7. 12:22
보 / 거더 / 슬래브 / 데크 차이

보와 거더, 슬래브와 데크 의 차이점에 대해서 ... 보(빔) vs 거더 보와 거더는 명확히 구분하기는 어려움 일반적으로 보를 지지하는 구조가 거더 통상적으로 구조물의 크기나 지지하는 하중의 크기로서, 작은 부재나 작은 하중 혹은 정적하중을 지지할때 보라하고 큰 부재, 보를 지지하는 부재, 동적하중 및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경우를 거더라 칭함 슬래브 vs 데크 Slab (사전적 의미) a thick, flat piece of a solid substance, such as stone, wood, metal, food, etc., that is usually square or rectangular Deck (사전적 의미) a flat area for walking on, built across the s..

구조 설계 및 시방서/구조물, 교량 2018. 6. 11. 09:53
철근콘크리트 바닥판 손상

철근콘크리트로 시공된 바닥판의 손상의 종류와 원인 1. 개요 교량중 상당수는 1960년대 말에서 70년대 초에 걸쳐 건설된 경부 및 호남 고속도로에 건설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 낮은 콘크리트 강도 - 설계하중이 1등교의 경우 DB-18 - 바닥판 두께 18cm - 저급재료 사용, 낮은 설계기준 및 시공경험 부족 또한, 70-80년대 급격한 산업화로 화물차 및 과적차량 증가 등으로 바닥판 손상 및 노후화 심각 2. 바닥판 손상 과정 1) 시공중 미세 균열 2) 공용 중 하중의 반복 작용(특히 과적차량)으로 균열 진전 3) 확대된 균열로 누수 현상, 콘크리트 백태, 거북등 균열, 함몰 및 펀칭파괴 발생 3. 바닥판 손상 종류 - 균열 : 1방향, 2방향 밍 거북등 균열 - 관통 균열 및 누..

구조 설계 및 시방서/구조물, 교량 2018. 6. 11. 09:15
이전 1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 신뢰도기반
  • beam 시공
  • 철도교
  • 재현주기
  • javascript
  • 교량설계기준
  • 취약도
  • 3점 원
  • fragility
  • 응답스펙트럼
  • 강도설계법
  • 부재 설계
  • 475년
  • 한계상태설계법
  • 안전확률
  • 초과확률
  • 설계지진력
  • kds 14 31 10
  • 파괴확률
  • 내진ii등급
  • 원 중심
  • VBA
  • beam 가설
  • 내진i등급
  • gauss jordan
  • 철도교설계기준
  • Excel
  • 충격계수
  • 신뢰도지수
  • 원 방정식
more
«   2025/05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