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지연파괴
정의
- 허용응력 이하로 긴장해놓은 PS 강재가 긴장후 몇시간 또는 수십 시간 경과 후, 갑작스레 끊어지는 현상
발생원인
- 수중, 다습한 환경, 산성 환경 하의 지속하중 재하 시 수소 취화 현상
- 수소취성(hydrogen embrittlement)이란 금속재료 특히 철강중에 흡수된 수소에 의하여 강재의 연성과 인성이 저하하고 소성변형 없이도 파괴되는 경향이 증대되는 현상
대책
- 표면 도장 처리
- 응력집중부와 급격한 단면변화 최소화
- 볼트 노출부가 부식되지 않도록 관리
- 용접 상세 선택 시 주의
응력부식
정의
- 높은 응력을 받는 PS 강재가 급속하게 녹슬거나, 표면에 녹이 보이지 않더라도 조직이 취약해지는 현상
발생원인
- 용접후 잔류 응력 존재
: 강구조물에서 각 부재간의 이음을 용접으로 할 때 용접에 의해 발생된 응력이 잔류 응력으로 남을경우
- PS 강재 긴장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에서 긴장으로 PS 강재에 응력이 도입되었을 때 PS 강재에 급격한 녹 발생
- 응력 집중
: 강구조물에서 어느 취약한 부재가 집중적으로 응력을 받게 되었을 때 녹 발생
- 강재 변형
: 강재가 급격하게 변형을 일으킬 때 그 부위에서 강재의 허용 응력 이상의 응력 발생으로 응력 부식 발생
방지 대책
- Prestress를 도입 후 강재 부식 발생이 생기기 전에 Grouting을 실시
- 에폭시 도장 강재를 가공 또는 용접 작업이 끝났을 때 바탕처리후 에폭시로 표면을 밀실하게 도장
- 잔류 응력 제거 용접 부위에서 잔류 응력이 있을 경우 열처리 공법으로 잔류 응력 제거
- 응력 분산 강구조물의 부재에 응력이 집중되지 않고 분산 작용될 수 있게 압축재와 인장재 배치
- 표면 홈 제거 강재 또는 강재의 표면에 취급중에 PS 생겨난 홈 제거
- 단면 보강 단면 취약부 등에서 발생되는 응력 부식을 막기 위해 단면 보강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
반응형
'구조 설계 및 시방서 >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연선 및 강봉의 최대 인장력 제한 (0) | 2022.07.11 |
---|---|
강연선 신장량 오차 (0) | 2021.11.24 |
프리스트레스 전달길이(Transfer) 정착길이(Development) (0) | 2021.05.25 |
압력선 핵심 (0) | 2021.05.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