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동현상에 대해서 명확히 설명해 놓은 자료가 없어서, 나름 정리해보았다. 와류 진동 (Vortex Shedding) 구조물에 바람이 작용하게되면 구조물 후면에 공기흐름의 박리(Separation)가 일어나면서 와류 발생 발생된 와류는 주기적으로 생성, 소멸되면서 유체 운동방향에 90도의 각을 이루면 주기적인 힘을 작용. 진폭이 커지면 와류 발생을 방해하므로 구조물의 진동이 감소하게 됨 버펫팅 (Buffeting) 자연풍은 시간에 따라 풍속과 풍향이 변하는 난류인데, 물체가 이러한 돌풍·난기류에 의한 충격으로 발생하는 구조물의 응답. 혹은, 풍상측(앞쪽) 구조물로 인해 발생한 공기의 소용돌이 때문에 풍하측(뒤쪽) 구조물에 발생하는 불규칙한 진동. 예를 들면 항공기에서는 꼬리 날개에서 일어나며, 교각 혹은 ..
116R Cement and Concrete Terminology 207.1R Mass Concrete 207.2R Effect of Restraint, Volume Change, and Reinforcement on Cracking of Mass Concrete 207.5R Roller Compacted Mass Concrete 211.1 Standard Practice for Selecting Proportions for Normal, Heavyweight, and Mass Concrete 211.2 Standard Practice for Selecting Proportions for Structural Lightweight Concrete 212.3R Chemical Admixtures for Co..
- SS 재 :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 : 기계적 성질에 중점을 두고 용접성은 특별히 고려하지 않은 강재 : 판두께가 22mm이하인 경우 용접구조에도 사용가능하나 한냉지 혹은 주요부재인 경우 용접구조용 압연강재 사용 - SM 재 : 용접 구조용 압연 강재 : 용접성을 고려해서 제조 : SM490Y재와 SM520은 인장강도에만 차이가 있고 기타 기계적성질은 같음 - SMA 재 : 용접 구조용 내후성 열간압연 강재 : 무도장으로 사용하는 W, 도장을 실시하여 사용하는 P 종류로 규정 : 일반강에 내후성이 우수한 원소 (Cu, Cr, Ni, P)를 첨가한 저합금강 : 일반강에 비해 4~8배의 내식성 보유 - HSB : 교량 구조용 강재 : 저온인성이 우수한 L, 내후성능이 우수한 W 종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