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근콘크리트로 시공된 바닥판의 손상의 종류와 원인 1. 개요 교량중 상당수는 1960년대 말에서 70년대 초에 걸쳐 건설된 경부 및 호남 고속도로에 건설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 낮은 콘크리트 강도 - 설계하중이 1등교의 경우 DB-18 - 바닥판 두께 18cm - 저급재료 사용, 낮은 설계기준 및 시공경험 부족 또한, 70-80년대 급격한 산업화로 화물차 및 과적차량 증가 등으로 바닥판 손상 및 노후화 심각 2. 바닥판 손상 과정 1) 시공중 미세 균열 2) 공용 중 하중의 반복 작용(특히 과적차량)으로 균열 진전 3) 확대된 균열로 누수 현상, 콘크리트 백태, 거북등 균열, 함몰 및 펀칭파괴 발생 3. 바닥판 손상 종류 - 균열 : 1방향, 2방향 밍 거북등 균열 - 관통 균열 및 누..
전단설계는 고전트러스모델 → 압축장 이론 → 수정압축장 이론 순서로 발전됨 각각의 설계 개념은 아래와 같음 고전 트러스 모델 스위스 리터(1899)와 독일 뫼르시(1920)에 의해 제안 균열 발생 후, 경사진 균열 콘크리트의 인장강도 무시 전단은 종방향 축과 45º 기울어진 콘크리트의 압축응력으로 저항한다고 가정 고전 트러스 모델의 문제점 (압축장 이론의 대두) 콘크리트의 인장강도 무시 변형의 적합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함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시험 결과 고전트러스모델로 산출한 저항력이 실제 구조물의 저항성능에 크게 미치지 못함 고전트러스 모델이 실제 성능을 과소평가하는 주요 이유는 경사각도를 45º로 고정 실제 압축대 경사각도는 45º보다 작음 압축장 이론 종철근, 횡철근 및 경사 콘크리트의 변형을 고..
콘크리트 내구성 주변 환경에 영향 받지 않고 본래의 기능을 잃지 않는 성질 콘크리트 내구성 지배요인 : 외우기 쉽게 "시골배합수비, 믹타양보, 피복두께" (a) 시멘트 (b) 골재 (c) 배합수 (d) 물시멘트비 (e) 피복두께 (f) 믹싱 (g) 타설 (h) 양생 (i) 보수 열화현상 : 화학적 혹은 물리적 요인으로 인해 본래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현상 콘크리트 열화현상 : 외우기 쉽게 앞글자만 따서 "중동수건 염알탄"... 중성화 (탄산화) : 콘크리트 내부는 강한 염기성을 띠고 있는데, 공기중의 이산화탄소와 결합하여 알칼리성을 잃음 : 탄산화가 철근까지 이르면, 철근이 부식하고 부피팽창하며 이로 인해 콘크리트 균열 및 탈락 : 대책 - 물시멘트비 작게하여 치밀한 콘크리트 / 충분한 피복두께 동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