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와 거더, 슬래브와 데크 의 차이점에 대해서 ... 보(빔) vs 거더 보와 거더는 명확히 구분하기는 어려움 일반적으로 보를 지지하는 구조가 거더 통상적으로 구조물의 크기나 지지하는 하중의 크기로서, 작은 부재나 작은 하중 혹은 정적하중을 지지할때 보라하고 큰 부재, 보를 지지하는 부재, 동적하중 및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경우를 거더라 칭함 슬래브 vs 데크 Slab (사전적 의미) a thick, flat piece of a solid substance, such as stone, wood, metal, food, etc., that is usually square or rectangular Deck (사전적 의미) a flat area for walking on, built across the s..
1. 철근 콘크리트 성립 이유 (a) 철근와 콘크리트 사이 부착력이 큼 (b) 철근와 콘크리트 온도 변화율이 거의 같음 : 온도변화에 따른 추가 응력이 발생하지 않음 (c) 콘크리트가 철근의 부식을 방지 2. 철근 콘크리트 장단점 장점 : 외우기 쉽게 "내구 모양이 싸구유" - 내구성이 좋다 - 모양을 만들기가 용이하다 - 경제적이다 (싸다) - 재료 구입이 용이 - 유지보수가 용이 단점 : 외우기 쉽게 "경인중부 에 검시균" - 경화시간이 길어서 환경에 영향받음 - 인장강도가 약함 - 중량이 무거움 - 부분파손이 발생 - 검사가 어렵다 - 시공이 조잡해질 수 있다 - 균열 발생으로 내구성이 저하될수 있음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
철근콘크리트로 시공된 바닥판의 손상의 종류와 원인 1. 개요 교량중 상당수는 1960년대 말에서 70년대 초에 걸쳐 건설된 경부 및 호남 고속도로에 건설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 낮은 콘크리트 강도 - 설계하중이 1등교의 경우 DB-18 - 바닥판 두께 18cm - 저급재료 사용, 낮은 설계기준 및 시공경험 부족 또한, 70-80년대 급격한 산업화로 화물차 및 과적차량 증가 등으로 바닥판 손상 및 노후화 심각 2. 바닥판 손상 과정 1) 시공중 미세 균열 2) 공용 중 하중의 반복 작용(특히 과적차량)으로 균열 진전 3) 확대된 균열로 누수 현상, 콘크리트 백태, 거북등 균열, 함몰 및 펀칭파괴 발생 3. 바닥판 손상 종류 - 균열 : 1방향, 2방향 밍 거북등 균열 - 관통 균열 및 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