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철근 이음 종류겹침이음용접기계적 장치겹침이음 상세하나의 철근에서 다른 철근으로 하중전달이 확실해야 한다.이음부 근처에서 콘크리트 박리가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구조물의 성능에 영향을 주는 커다란 균열은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철근 사이에서 서로 엇갈리게 배치하고 응력이 큰 영역에서는 배치하지 않는다.겹침이음된 두 철근 사이의 횡방향 순거리는 4db 또는 50mm 이하인접한 두 겹침이음의 축방향 거리는 겹침이음 길이의 0.3배 이상인접한 겹침이음의 경우, 철근사이의 순거리는 2db 또는 20mm이상압축측의 모든 철근과 배력 철근은 한 단면에서 겹침이음 가능D35 초과하는 철근은 겹침이음 불가 (콘크리트 구조기준, 2012)일반적으로 지름이 큰 철근은 겹침이음을 하지 않지만, 단면 치수가 1.0 m이상이거나 철..

핵심 프리스트레스 힘만 작용할 경우, 단면에 인장응력을 발생시키지 않는 편심의 한계 압력선 PSC보의 경우, 외력에 의한 휨모멘트가 증가할 때 모멘트의 팔길이 a가 변화할 뿐, 압축력 및 인장력의 합력은 변화하지 않는다. 이는 외부하중이 증가하더라도 초기에 도입된 프리트스트레스힘이 크기 변화가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록 작다는 의미이다. 여기서 압축력의 합력이 작용하는 점을 연결한 선을 압력선. 압력선의 위치와 콘크리트 응력 분포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

콘크리트 구조기준, 2012에 근거한 철근콘크리트 휨강도 산정 이론적 내용 1. 콘크리트 압축연단의 극한 변형율, 0.003 [ 콘크리트 구조기준, 6.2.1-(3) ] 2. 등가응력사각형 깊이 계수, [ 콘크리트 구조기준, 6.2.1-(7) ] 3. 강도감소계수, 4. 단면 휨강도 및 필요철근량 산정 5. 휨부재의 최소철근량 [ 콘크리트 구조기준, 6.3.2 ] 1) 계산식 2) 부재의 모든 단면에서 해석에 의해 필요한 철근량보다 1/3이상 인장철근이 배치된 경우, 최소 철근량 규정을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 6. 휨부재의 최대철근량 [ 콘크리트 구조기준, 6.2.2-(5) ] 1) 공칭강도 상태에서 휨부재의 순인장변형률이 최소 허용 변형률 이상이 되어야 함 2) 휨부재의 최소 허용변형률은 철근의 항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