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리 정착형 주탑 단면 내에 여유공간 형성으로 점검 용이 케이블 인장력으로 인해 PS 강재 및 철근 등으로 정착부 보강 필요 분리 정착형 (교차정착) 케이블 교차 정착을 위해 주탑 단면 내부는 충실단면 케이블 교차 정착으로 주탑 단면의 비틀림 검토 필요 분리 정착형 (Steel framing) Steel Frame으로 케이블 인장력 분담으로 주탑 콘크리트의 응력 감소 PS 강재 등 정착부 보강재 감소 가능 Steel Frame 제작에 따른 제작비 및 공기 증가 우려 관통 고정 정착 (Saddle Type) 주탑을 관통하여 케이블 정착 Saddle 위의 케이블이 미끌림 발생하지 않도록 고정필요 케이블의 최소 휨 반경에 따라 주탑형상 제약

교량받침 교좌장치 기능 교랴에 재하되는 하중을 상부구조에서 하부구조로 전달하는 기능 수행 다른 부재와 연결하여 교량에 발생하는 변위를 흡수하는 기능한다 (이동 또는 회전) 정해진 교좌장치의 설치위치 또는 방향에 대해서만 자유로운 변위를 허용한다. 교량받침 교좌장치 설계시 고려사항 수직 및 수평하중 이동량 및 회전량 마찰계수 상 하부 구조물의 형식과 제원 지점에서의 받침 개수 지반의 조건 및 침하 가능성 (하부구조 변위량) 교량받침의 점검, 유지관리 및 교체가 가능해야 한다 미관 및 안정성 사교의 경우, 사각이 심하면 부반력이 발생할 수 있으며, 둔각부에 하중 집중되므로 보강 필요 사교의 경우, 가동받침의 이동방향은 교량의 중앙선에 평행하도록 배치 곡선교의 경우, 가동받침의 이동방향은 곡선반경에 접선으로 ..

내용이 어렵지않지만, 의외로 구조기술사 시험에 자주 출제되는 문제이므로, 확실하게 이해 및 암기해두어야 한다. Plain Stress 면외 방향(판두께방향)의 응력이 0인 상태 얇은 박판 등에서 두께 방향으로 하중을 받는 경우 Plain Strain 댐, 터널 혹은 옹벽의 중앙부와 같이, 구조물에서 한 방향의 크기가 다른 방향의 크기보다 월등히 큰 경우, 그 크기가 큰 방향의 주변형률은 구속되거나 일정하여 변형이 0인 상태 Plain Strain 상태에서는 크기가 큰 방향의 응력은 계산시 무시한다. (e33를 무시하고 2X2 Matrix로 계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