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대풍속(maximum wind speed) 하루(00∼24시) 중 임의의 10분간 평균으로 가장 세게 불었던 풍속 최대순간풍속(maximum instantaneous wind speed) 하루(00∼24시) 중 바람이 순간적으로 가장 세게 불었던 때의 풍속 도로교 설계기준, 2010과 케이블강교량설계지침, 2006에 근거한 풍속의 종류를 살펴본다. 기본 풍속, V10 기본풍속 V10 은 지표조도구분 II 인 개활지에서 지상 10m 높이에서의 재현기간 200년(내용년수 100 년, 비초과확률 60%)에 해당하는 10 분 평균 풍속으로 정의한다. 도로교설계기준의 기본풍속은 교량의 내용연수 50년을 기준으로 비초과확률 60%를 적용하여 재현기간 100년에 대한 풍속으로 산정하였다. 케이블 교량의 경우에는 그..

부반력 발생 Mechanism 주경간에 재하된 하중은 주경간 케이블로부터 측경간 케이블로 전달되어 단부 교각으로 전달된다. 사장교 설계(계획)시, 미관을 고려하여 측경간 경간장은 주경간장의 0.5이하로 한다. 또한 이 비율은 측경간 단부의 부반력 발생에 영향을 준다. 측경간을 주경간에 비해 짧게 할 경우 부반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로교의 경우, 측경간 비는 주경간의 0.40 ~ 0.45 수준으로 한다. 활하중이 큰 철도교의 경우, 측경간 비는 주경간의 0.20 ~ 0.25 수준으로 한다. 부반력 산정 방법 도로교 설계기준, 2010 도로교 설계기준, 케이블교량 한계상태설계법 2016 (케이블 강교량설계지침(2006) 5.4) (케이블 강교량설계지침(2006) 4.2 하중조합) 부반력 제어 대..
교량 진동 특성 차량 등에 의한 활하중, 풍하중 및 지진하중으로 진동 진동으로 피로하중 유발 하중의 진동수와 구조물 고유진동수가 유사하여 공진할 경우, 피해 발생 가능 차량하중에 의한 진동 도로교의 노면조도, 교량진입부의 미끄럼방지 포장과 신축이음부 단차 등 차량 통과시 동적효과 발생 동적효과로 인해 정적차량 하중에 의한 응력보다 더 큰 응력 발생 교량의 내하력과 피로저항능력이 감소 및 교량상판의 피로파손의 원인 부재두께, 감쇠비, 교량의 질량을 고려할 때, 콘크리트교 보다 강교가 진동피해에 취약 풍하중에 의한 진동 장경간의 교량에서 풍하중의 영향이 큼 와류진동 및 버펫팅 효과에 따른 강제 진동 갤로핑 및 플러터 등의 자발진동(진폭이 늘어나거나 줄어들지 아니하고 지속되는 진동) 단면 형상 등의 영향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