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요 고강도 콘크리트가 화재 등으로 발생한 급격한 온도 변화와 열로 인하여 내부에 갇혀있던 수분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팽창 한계점에 도달, 이후 폭발하며 부재 표면의 콘크리트가 탈락되거나 박리되는 현상. 콘크리트의 내화력을 약화시키는 대표적인 악재. 발생원인 콘크리트에는 제조시 포함되는 수분이 내부 공간에 남게 되는데, 일반 콘크리트는 조직구조가 고강도 콘크리트에 비해 엉성해 화재시 수증기가 잘 빠져나감 고강도 콘크리트는 조직구조가 매우 치밀하여, 화재시 수증기가 내부에 갇히게 되고, 팽창 한계점을 넘긴 수증기 폭발 폭렬현상 메카니즘 화재 등 콘크리트가 고온에 노출 -> 내부 수증기압 상승 및 인장강도 초과 -> 표면 박리 / 단면 결손 폭렬현상 저감방법 (1) 내화도료나 내화피복으로 콘크리트의 급..

전단파괴형태 전단지간에 따른 전단파괴형태는 다음과 같다. 1) 깊은보 (Deep Beam) 2) 전단압축 / 인장 파괴 3) 사인장 균열 파괴 4) 휨인장 파괴 전단보강된 보의 전단거동 1) 사인장 균열 발생 전 - 균열 발생 전으로, 콘크리트와 동일하게 거동하므로 철근에 의한 보강효과는 나타나지 않음 2) 사인장 균열 발생 후 - 전단철근에 변형 발생하여 철근에 의한 보강수직효과 발생 - 전단 스터럽 철근에는수직 인장력이 발생 - 이 때, 인장측의 종방향 철근에 전단철근의 수직 인장력에 대응하는 수평력이 발생 - 종방향에 적정한 인장재가 배치되어 있어야 함. 전단에 대한 종방향 인장재 설계 기준 1) AASHTO LRFD Bridge design, 2017, 8th Edition - 5.7.3.5 참조..
시방서에 정의되어있는 휨인장 / 압축 / 전단 부재의 최소 철근비 규정과 의미 인장부재 (휨) - 최소철근비 : As,min = Max[ 1.4 bw d / fy , 0.25√ fck * bw d / fy ] - 최대철근비 : 순인장변형률이 휨부재 최소 허용변형률이상 fck 400Mpa 인 경우, 최소혀용 변형률 = 철근항복변형률 2배 최소 철근비 적용 이유 철근량 부족으로 인한, 부재의 급작스런 파괴 (취성파괴) 방지 최대 철근비 적용 이유 철근이 항복하기 전에 콘크리트가 먼저 파괴되어 취성파괴하는 것을 방지 기존 0.75 ρb에서 개정 사유는 T형 / 박스 형 단면과 같이 폭이 두가지 이상인 경우 모호 압축부재 - 철근 단면적은 전체 단면적의 1% ~ 8% 나선철근비 ρs = 0.45 fck / f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