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dy{ font: normal 11pt arial, 나눔고딕;line-height : 25px;}ul {margin : 0px ;padding-left: 100px;}p.p0 {margin-left:0px; font-weight:bold;}p.p1 {margin-left:0px}p.p2 {margin-left:20px}p.p3 {margin-left:40px}input.in { width : 100px; height : 25px; text-align: right;vertical-align : middle;color:black;font-weight : bold;}input.out { width : 100px; height : 30px; background-color : lightgrey; text-al..
응답스펙트럼 응답스펙트럼은 각기 다른 고유진동수를 가진 1차원 시스템 각각의 지진동에 대한 응답시간이력의 최대값을 진동수-진폭 평면에 나열한 것이다. 즉, 일정한 감쇠율을 갖는 단자유도 구조물의 최대 응답을 구조물의 고유주기에 대한 관계로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사실은 입력되는 지진동의 정보가 결정되어있다는 사실이다. 즉, 랜덤한 지진파에 대한 1차원 시스템들의 응답이 아니고, 특정 조건으로 설계된 지진파에 대한 1차원 시스템들의 응답이라는 점이다. 아래 그림은 응답스펙트럼을 작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그림이다. 정해진 지진파 (A)에 대하여, 감쇠계수는 같으나 고유진동수가 다른 각각의 시스템에서의 최대 응답(B)을 각 고유진동수에 대해 나열한 것이다. 감쇠계수를 변경하여 동일한 작업을 반복하여 응답..
풍동현상에 대해서 명확히 설명해 놓은 자료가 없어서, 나름 정리해보았다. 와류 진동 (Vortex Shedding) 구조물에 바람이 작용하게되면 구조물 후면에 공기흐름의 박리(Separation)가 일어나면서 와류 발생 발생된 와류는 주기적으로 생성, 소멸되면서 유체 운동방향에 90도의 각을 이루면 주기적인 힘을 작용. 진폭이 커지면 와류 발생을 방해하므로 구조물의 진동이 감소하게 됨 버펫팅 (Buffeting) 자연풍은 시간에 따라 풍속과 풍향이 변하는 난류인데, 물체가 이러한 돌풍·난기류에 의한 충격으로 발생하는 구조물의 응답. 혹은, 풍상측(앞쪽) 구조물로 인해 발생한 공기의 소용돌이 때문에 풍하측(뒤쪽) 구조물에 발생하는 불규칙한 진동. 예를 들면 항공기에서는 꼬리 날개에서 일어나며, 교각 혹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