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단설계는 고전트러스모델 → 압축장 이론 → 수정압축장 이론 순서로 발전됨 각각의 설계 개념은 아래와 같음 고전 트러스 모델 스위스 리터(1899)와 독일 뫼르시(1920)에 의해 제안 균열 발생 후, 경사진 균열 콘크리트의 인장강도 무시 전단은 종방향 축과 45º 기울어진 콘크리트의 압축응력으로 저항한다고 가정 고전 트러스 모델의 문제점 (압축장 이론의 대두) 콘크리트의 인장강도 무시 변형의 적합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함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시험 결과 고전트러스모델로 산출한 저항력이 실제 구조물의 저항성능에 크게 미치지 못함 고전트러스 모델이 실제 성능을 과소평가하는 주요 이유는 경사각도를 45º로 고정 실제 압축대 경사각도는 45º보다 작음 압축장 이론 종철근, 횡철근 및 경사 콘크리트의 변형을 고..
콘크리트 내구성 주변 환경에 영향 받지 않고 본래의 기능을 잃지 않는 성질 콘크리트 내구성 지배요인 : 외우기 쉽게 "시골배합수비, 믹타양보, 피복두께" (a) 시멘트 (b) 골재 (c) 배합수 (d) 물시멘트비 (e) 피복두께 (f) 믹싱 (g) 타설 (h) 양생 (i) 보수 열화현상 : 화학적 혹은 물리적 요인으로 인해 본래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현상 콘크리트 열화현상 : 외우기 쉽게 앞글자만 따서 "중동수건 염알탄"... 중성화 (탄산화) : 콘크리트 내부는 강한 염기성을 띠고 있는데, 공기중의 이산화탄소와 결합하여 알칼리성을 잃음 : 탄산화가 철근까지 이르면, 철근이 부식하고 부피팽창하며 이로 인해 콘크리트 균열 및 탈락 : 대책 - 물시멘트비 작게하여 치밀한 콘크리트 / 충분한 피복두께 동결..
강재의 부식 및 부식 속도 강재의 부식(Corrosion) 금속이 주위 환경의 여러가지 물질과 화학적 혹은 전기화학적으로 반응하여 물성이 변하는 현상 부식의 종류 건식 : 전형적인 형태는 연소로서, 고온의 가스 중에서 산소와 직접 반응하여 산화하는 것 : 습기가 존재하지 않는 환경 중에 200도씨 이상 가열된 상태에서 발생하는 부식 습식 : 금속표면이 접하는 환경 중에 습기의 작용에 의한 부식현상 : 상온의 공기 중에서 철 등이 녹스는 것 전면부식 : 금속의 표면이 일정하게 녹으로 변해가며 같은 속도로 소모되어 가는 경우 (발생하기 어려움) 국부부식 : 부분적으로 구멍 모양 혹은 홈 모양의 부식이 발생하는 경우 강재의 부식 속도 (출처 : 구조물 기초설계기준 1986, 4.5.11 강말뚝, 표 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