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 내구성 주변 환경에 영향 받지 않고 본래의 기능을 잃지 않는 성질 콘크리트 내구성 지배요인 : 외우기 쉽게 "시골배합수비, 믹타양보, 피복두께" (a) 시멘트 (b) 골재 (c) 배합수 (d) 물시멘트비 (e) 피복두께 (f) 믹싱 (g) 타설 (h) 양생 (i) 보수 열화현상 : 화학적 혹은 물리적 요인으로 인해 본래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현상 콘크리트 열화현상 : 외우기 쉽게 앞글자만 따서 "중동수건 염알탄"... 중성화 (탄산화) : 콘크리트 내부는 강한 염기성을 띠고 있는데, 공기중의 이산화탄소와 결합하여 알칼리성을 잃음 : 탄산화가 철근까지 이르면, 철근이 부식하고 부피팽창하며 이로 인해 콘크리트 균열 및 탈락 : 대책 - 물시멘트비 작게하여 치밀한 콘크리트 / 충분한 피복두께 동결..
강재의 부식 및 부식 속도 강재의 부식(Corrosion) 금속이 주위 환경의 여러가지 물질과 화학적 혹은 전기화학적으로 반응하여 물성이 변하는 현상 부식의 종류 건식 : 전형적인 형태는 연소로서, 고온의 가스 중에서 산소와 직접 반응하여 산화하는 것 : 습기가 존재하지 않는 환경 중에 200도씨 이상 가열된 상태에서 발생하는 부식 습식 : 금속표면이 접하는 환경 중에 습기의 작용에 의한 부식현상 : 상온의 공기 중에서 철 등이 녹스는 것 전면부식 : 금속의 표면이 일정하게 녹으로 변해가며 같은 속도로 소모되어 가는 경우 (발생하기 어려움) 국부부식 : 부분적으로 구멍 모양 혹은 홈 모양의 부식이 발생하는 경우 강재의 부식 속도 (출처 : 구조물 기초설계기준 1986, 4.5.11 강말뚝, 표 4.22)..
body{ font: normal 11pt arial, 나눔고딕;line-height : 25px;}ul {margin : 0px ;padding-left: 100px;}p.p0 {margin-left:0px; font-weight:bold;}p.p1 {margin-left:0px}p.p2 {margin-left:20px}p.p3 {margin-left:40px}input.in { width : 100px; height : 25px; text-align: right;vertical-align : middle;color:black;font-weight : bold;}input.out { width : 100px; height : 30px; background-color : lightgrey; text-al..
응답스펙트럼 응답스펙트럼은 각기 다른 고유진동수를 가진 1차원 시스템 각각의 지진동에 대한 응답시간이력의 최대값을 진동수-진폭 평면에 나열한 것이다. 즉, 일정한 감쇠율을 갖는 단자유도 구조물의 최대 응답을 구조물의 고유주기에 대한 관계로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사실은 입력되는 지진동의 정보가 결정되어있다는 사실이다. 즉, 랜덤한 지진파에 대한 1차원 시스템들의 응답이 아니고, 특정 조건으로 설계된 지진파에 대한 1차원 시스템들의 응답이라는 점이다. 아래 그림은 응답스펙트럼을 작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그림이다. 정해진 지진파 (A)에 대하여, 감쇠계수는 같으나 고유진동수가 다른 각각의 시스템에서의 최대 응답(B)을 각 고유진동수에 대해 나열한 것이다. 감쇠계수를 변경하여 동일한 작업을 반복하여 응답..
풍동현상에 대해서 명확히 설명해 놓은 자료가 없어서, 나름 정리해보았다. 와류 진동 (Vortex Shedding) 구조물에 바람이 작용하게되면 구조물 후면에 공기흐름의 박리(Separation)가 일어나면서 와류 발생 발생된 와류는 주기적으로 생성, 소멸되면서 유체 운동방향에 90도의 각을 이루면 주기적인 힘을 작용. 진폭이 커지면 와류 발생을 방해하므로 구조물의 진동이 감소하게 됨 버펫팅 (Buffeting) 자연풍은 시간에 따라 풍속과 풍향이 변하는 난류인데, 물체가 이러한 돌풍·난기류에 의한 충격으로 발생하는 구조물의 응답. 혹은, 풍상측(앞쪽) 구조물로 인해 발생한 공기의 소용돌이 때문에 풍하측(뒤쪽) 구조물에 발생하는 불규칙한 진동. 예를 들면 항공기에서는 꼬리 날개에서 일어나며, 교각 혹은 ..
116R Cement and Concrete Terminology 207.1R Mass Concrete 207.2R Effect of Restraint, Volume Change, and Reinforcement on Cracking of Mass Concrete 207.5R Roller Compacted Mass Concrete 211.1 Standard Practice for Selecting Proportions for Normal, Heavyweight, and Mass Concrete 211.2 Standard Practice for Selecting Proportions for Structural Lightweight Concrete 212.3R Chemical Admixtures for Co..
- SS 재 :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 : 기계적 성질에 중점을 두고 용접성은 특별히 고려하지 않은 강재 : 판두께가 22mm이하인 경우 용접구조에도 사용가능하나 한냉지 혹은 주요부재인 경우 용접구조용 압연강재 사용 - SM 재 : 용접 구조용 압연 강재 : 용접성을 고려해서 제조 : SM490Y재와 SM520은 인장강도에만 차이가 있고 기타 기계적성질은 같음 - SMA 재 : 용접 구조용 내후성 열간압연 강재 : 무도장으로 사용하는 W, 도장을 실시하여 사용하는 P 종류로 규정 : 일반강에 내후성이 우수한 원소 (Cu, Cr, Ni, P)를 첨가한 저합금강 : 일반강에 비해 4~8배의 내식성 보유 - HSB : 교량 구조용 강재 : 저온인성이 우수한 L, 내후성능이 우수한 W 종류
지진의 크기를 나타내는 척도로는 진도(intensity)와 규모(Magnitude)가 있다. 규모 (Magnitude) 규모는 지진발생시에 방출되는 에너지의 양을 나타내는 척도로서, 관측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 규모는 계산관측에 의하여 계산된 객관적 지수 지진계에 기록된 지진파의 진폭과 발생지점까지의 진앙거리를 이용하여 계산 지진의 에너지 총량 (지진 발생시 고유한 값, 뉴스에서 보도하는 지진크기) 최초의 규모는 Richter가 진앙에서 100km 떨어진 표준지진계에 기록된 최대 진폭을 Micron 단위로 읽어 상용대수 취한 것을 규모로 정함 지진의 실제 에너지를 나타내는 절대적인 값 진도 (Intensity) 어떤 장소에 나타난 지진동의 세기를 사람의 느낌이나 주변의 물체 또는 구조물의 흔들림 정도를 수..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 해설(2003년 개정) 3.2 철근 및 용접철망의 조립 3.2.1 철근의 조립시방 철근은 바른 위치에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움직이지 않도록 충분히 견고하게조립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필요에 따라서는 조립용 강재를 사용한다. 또 철근의교점은 지름 0.9mm 이상의 풀림 철선 또는 적절한 클립으로 긴결한다 해설) 철근상호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철근의 교점을 지름 0.9mm이상의 풀림철선으로 결속하는 것이 보통이다. 슬래브와 벽체의 주철근의 간격이 300mm 이하인 경우에는 반수(하나건너 하나) 이상, 300mm를 초과하는 경우 전수(모든 교차점)를 결속한다.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 (2009년 개정) 3.2 철근 및 용접철망의 조립 3.2.1 철근의 조립 (2) 철근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