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1. 프리스트레스 도입시 콘크리트 최소강도란?
정의 :
프리스트레스로 콘크트에 응력이 가해지는 순간, 콘크리트가 갖추어야 하는 최소 압축강도
중요성:
과도한 응력 시 앵커 파열, 균열, 지연 파괴 등이 발생할 수 있어 반드시 넘겨야 할 기준.
현장 오류를 줄이기 위해 실제 배합강도를 설계기준 이상으로 설정해야 함.
2. 설계 기준별 도입 강도
참고 문헌 | 프리텐션 기준 강도 | 포스트 텐션 기준 강도 | 비고 |
도로교 설계기준 (2010) | ≥ 35 MPa | ≥ 30 MPa | 설계기준강도 크도록 배합 요구 |
콘크리트 구조기준 (2012) | ≥ 30 MPa | ≥ 28 MPa (단일강재: 17 MPa) | 양생 조건 동일 시 기준 이상 필요 |
도로교 설계기준 해설 (2015) | ≥ 35 MPa | ≥ 30 MPa | 본문과 동일 |
KCS 14 20 53 | 실험·승인 시 25 MPa까지 완화 가능 | — | 책임기술자 승인 조건 포함 |
3. 현장 체크리스트
- 적용 기준 문서 확인 (KDS / 도로교 / KCS)
- 프리·포스트텐션 방식 식별
- 설계기준강도와 배합강도 여부 확인 (실험치 포함)
- 입실시 양생 조건 유지 여부 감리 확인
- 도입 시점 모니터링 (양생 후 X시간 이후)
- 완료 시 QC 리포트 작성: 치수 변수 / 강도 측정값 / 승인자 등 포함
도로교 설계기준 2010
4.6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4.6.1 일반사항
4.6.1.2 콘크리트
설계도서에는 구조물 각 부분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 fck가 명확히 제시되어야 한다. 설계기준강도는 규정에 따라 제작, 시험된 콘크리트의 강도로써 확인되어야 한다. 다만 프리 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 실제 콘크리트강도가 설계기준강도보다 작아지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되므로 현장의 배합강도를 설계기준강도보다 크게 정하여야 한다. 프리스트레 스트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 fck 는 적어도 다음 값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 프리텐션 방식의 경우 : 35MPa
◦ 포스트텐션 방식의 경우 : 30MPa
4.6.3 설계
4.6.3.11 프리스트레스 도입시의 콘크리트 강도
(1) 프리스트레싱 시의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프리스트레싱 직후에 콘크리트에 발생하는 최대압축 응력의 l.7배 이상이 되지 않으면 안 된다. 또한 특별히 규정되지 않는 한 부재의 양생조건과 동일한 상태에서 양생시킨 공시체에 대한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프리텐션 부재에서는 30MPa, 포스트텐션 부재에서는 28MPa이 될 때까지 콘크리트에 힘을 가하지 않아야 한다.
콘크리트 구조기준 2012
9.9 프리스트레스 정착구역
9.9.1 포스트텐션 긴장재 정착구역
(4) 재료의 공칭강도는 다음의 규정에 따른다.
③ 포스트텐션을 도입할 때의 콘크리트 압축강도는 설계도서에 명시하여야 한다. 낮은 압축강도를 보상하기 위해 특별히 큰 정착장치를 사용하거나, 최종 프리 스트레스 힘의 50 %를 초과하지 않는 힘으로 긴장재를 긴장하는 경우를 제외하 고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적어도 다발강연선에 대하여 28 MPa, 단일강연선 이나 강봉에 대하여 17 MPa이 되기 전에는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없다.
KDS 14 20 60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설계기준
4.8 프리스트레스 정착구역
4.8.1 포스트텐션 긴장재 정착구역
위 "콘크리트 구조기준 2012"와 동일
KCS 14 20 53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3.5 프리스트레싱
3.5.3 프리스트레싱할 때의 콘크리트 강도
(1) 프리스트레싱을 할 때의 콘크리트 압축강도는 어느 정도의 안전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프리스트레스를 준 직후, 콘크리트에 발생하는 최대 압축응력의 1.7배 이상이어야 한다. 다만, 시험 등을 통해 성능이 입증된 경우에는 책임기술자의 승인을 얻은 후에 완화될 수 있다. 또한, 프리텐션 방식에 있어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30MPa 이상이어야 한다. 실험이나 기존의 적용 실적 등을 통해 안전성이 증명된 경우, 이를 25MPa로 하향 조정할 수 있다.
도로교 설계기준 2015 (한계상태설계법) 해설
5.6 구조해석
5.6.7 프리스트레스트 구조물
5.6.7.1 개요
(5) 일반적인 경우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은 다음의 최소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 포스트텐션 부재의 콘크리트 설계기준압축강도는 30 MPa 이상, 프리텐션 부재의 콘 크리트 설계기준압축강도는 35 MPa이상이어야 한다.
반응형
'구조 설계 및 시방서 >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연선 및 강봉의 최대 인장력 제한 (0) | 2022.07.11 |
---|---|
강연선 신장량 오차 (0) | 2021.11.24 |
프리스트레스 전달길이(Transfer) 정착길이(Development) (0) | 2021.05.25 |
PS 강재 지연파괴 / 응력부식 (0) | 2021.05.24 |
압력선 핵심 (0) | 2021.05.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