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케이블 장력 측정에는 로드셀, 리프트오프, 진동법, EM법, Sag 측정법이 있다. 로드셀 (Load Cell) 정의 로드셀은 힘 또는 무게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전기적 기계센서 로드셀 표면에 스트레인 게이지가 부착되어, 로드셀에 힘이 가해지면 로드셀과 스트레인게이지 변화 이로인해 스트레인게이지의 저항값이 변하고, 이 저항값을 전기신호로 변환 장점 단순한 측정방법. 정밀한 측정. 단점 고가의 장비가격. 짧은 내구성. 측정하중이 증가할 경우 로드셀 크기도 증가. 리프트오프 (Lift-Off) 케이블에 도입된 장력보다 작은 하중을 가하면 웻지가 움직이지 않는 원리 이용 (힘의 평형). 유압잭으로 하중을 증가하면서 웻지가 움직임이 발생하기 직전까지의 값을 측정하는 방법 진동법 케이블의 장력은 케이블이 인장됨에..

강봉 강봉은 다음 2가지 방법으로 전단저항이 가능하다. 1. 프리스트레싱에 의한 축력과 마찰계수를 고려한 전단저항 2. 강봉의 전단강도에 의한 전단저항 강봉의 전단강도에 대해서는 각 제조사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MACALLOY (50% of fpu) DYWIDAG (1/sqrt(3) of fy) 강봉의 직접 전단강도는 아래 식으로 산정 가능하다. 철근 철근의 경우는 전단력이 작용할 때, 콘크리트 경계면에서 골재 등으로 인해서 균열면이 벌어지게 되고 (박리), 이때 수직방향으로 변형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철근이 인장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철근은 전단강도가 아닌 인장강도로 저항력을 산정한다. 전단마찰 메커니즘 도로교 설계기준, 2010, 전단마찰 설계방법

선설치 앵커선설치 앵커는 후설치 앵커보다 큰 인발저항력과 전단력 저항력을 발현하지만, 콘크리트 타설전에 매입해야 함으로 설계 변경등에 의해 자유롭지 못한 단점이 있습니다. 선설치앵커는 다음과 같은 종류의 앵커가 있습니다. 후설치앵커후설치 앵커는 콘크리트 및 구조물의 배치후 해머드릴을 통하여 앵커의 설치한 곳을 확보한후 앵커를 설치합니다. 구조물의 위치가 이동시에도 신속히 대응이 가능하며, 추가적인 설계변경에도 능동력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인발 및 전단저항 강도가 높지 않은 것과 진동 및 피로에 취약한 단점이 있습니다. 확장앵커타설된 콘크리트에 구멍을 뚫어 삽입하고하단부를 확장시켜 콘크리트와 기계적 마찰에 의해 저항력을 발휘하는 방식입니다 언더컷 앵커특수 천공기구를 사용하여, 구멍하부를 미..
https://www.engineeringtoolbox.com/steel-bolts-metric-grades-d_1428.html Metric Steel Bolts - Grades and Property Classes www.engineeringtoolbox.com https://e-ks.kr/streamdocs/view/sd;streamdocsId=72059200216603107 StreamDocs e-ks.kr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
강연선 신장량에서 이론치와 실측치의 차이가 발생할 경우, 곡률 및 파상 마찰계수를 수정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길이 15m 이내의 짧은 강연선의 경우, 계산 신장량과 실측된 신장량에서 차이가 많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마찰계수를 수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자칫 비효율적일 수 있다. 다음 도로교 표준시방서 2016의 내용을 참고하여, 어느 정도의 발생오차는 특별한 보정없이 허용하되, 설계도입력은 유지하여 구조적인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자. 3.3.5 프리스트레싱의 관리 (1) 프리스트레싱의 관리는 하중계의 지시값과 긴장재의 늘음량에 의해 해야 하고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그의 관계가 직선으로 되어가는 것을 확인하여야 한다. 직선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프리스트레싱을 다시 해야 하고 다시 한 후에도 ..

PSM 정의 구조물을 여러개의 작은 세그먼트나 블록으로 분할하고, 인장재를 이용하여 결합하여 가설하는 공법. BCM(Balanced Cantilever Method), Small segment / Full span segment 방법이 있음. PSM 특징 공장제작하므로 품질관리가 우수함 가설속도가 빠름 (경간당 2~5일 소요) 동바리가 필요없으므로, 계곡, 하천 및 형하공간에 제약이 있는 경우 적용 가능 초기투자비용(제작장, 몰드 및 런칭장비 등)으로 약 1.5~2.0km 이상의 규모에서 경제적 고난이도 시공관리 요구됨 세그먼트 이음부에서 철근이 불연속하므로 인장응력에 제약 세그먼트 이음부 에폭시 사용시 혹한기 사용 어려움 PSM 설계시 유의사항 세그먼트 제작 세그먼트 Lifting 및 야적시 세그먼트 ..

재현주기와 확률도로교 설계기준, 풍하중 관련 세부 내용을 살펴보면 "재현기간 100년에 해당하는 ..." 이라는 문구가 나온다.재현기간 R년 이라는 문구가 개인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웠으나, 이 문구의 내용은 확률적으로 1/R이라는 의미이다. 즉, 재현기간 100년이면, 이번 연도에 발생할 확률은 1/100이라는 뜻이다.따라서, 아래와 같은 가우스 표준 정규분포를 예를 들어 생각하면, 1%의 면적을 갖는 부분을 의미한다.그렇다면, 재현기간 100년의 풍속이 100년 안에 발생할 확률은100% - 발생하지 않을 확률 = 100% - (99%)^100 = 100% - 36.6% = 63.4% 즉, 재현기간 100년 빈도 풍속이 100년에 발생할 확률은 100%가 아니라는 개념이다. 비초과확률재현주기 R년동안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가설시, 수평력에 저항하기 위해 강봉(PT bar)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밀착을 해야할 경우가 많다. 이때, 필요한 강봉의 개수와 긴장력은 강봉(PT bar)의 긴장력에 마찰계수를 곱하여 수평 저항력을 산정하고, 이 수평저항력이 수평 외력에 저항하는 설계 개념을 이용하여 산정하게 된다. 여기서, μ는 강재(PT bar의 Bearing plate)와 접촉하는 콘크리트 사이의 마찰계수이다. 그런데, 이 마찰계수가 명확히 정의되어 있는 기준이 없다. 이와 관련하여, PCI Design Handbook, 5th Edition 기준과 DIN 기준을 참고할만 하다. 1) PCI Design Handbbok 5th : 콘크리트와 강재 사이의 마찰계수, 0.4 2) DIN 기준 : 콘크리트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