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구조 연결시, 볼트 연결과 용접 연결을 동시에 적용하는 경우 시방규정을 정리하였다. 설계 개념을 살펴보면, 모재와 밀착이 이루어지지 않은, 지압이음볼트는 용접과 같이 하중을 분담할 수 없다. 즉, 하중이 재하되면 지압이음볼트는 모재와 밀착이 되어있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에, 용접부위만 힘을 받는다고 간주. 마찰이음볼트를 사용한 경우만 용접 부위와 하중을 분담할 수 있다고 간주한다. 이 경우에도 충분한 검토가 이루어져야한다고 했으므로, 마찰이음볼트의 하중분담을 적게 이루어진다고 충분한 안전율을 적용해서 설계하는게 좋을듯 하다. 연결부위에 전단이 아닌 인장이 함께 작용하는 경우는 보수적으로 볼트와 용접을 혼용하면 안된다. 볼트 용접 병용 예 강구조설계기준, 2003 강구조설계기준, 2016 도로교 설계기준,..
아래 내용은 도로교 설계기준, 2010 "6.2 내진설계의 기본방침"을 참고하였다. 내진설계기준 기본 개념 ● 인명피해를 최소화한다. ● 지진시 교량 부재들의 부분적인 피해는 허용하나, 전체적인 붕괴는 방지한다. ● 지진시 가능한 한 교량의 기본 기능은 발휘할 수 있게 한다. ● 교량의 정상수명 기간 내에 설계 지진력이 발생할 가능성은 희박하다. ● 설계기준은 남한 전역에 적용될 수 있다. ● 이 규정을 따르지 않더라도, 창의력을 발휘하여 보다 발전된 설계를 할 경우에는 이를 인정한다. ● 위 기본 개념을 구현하기 위해, 낙교방지가 확보되어야 한다. - 낙교방지는 가능하면 교각의 연성거동에 의한 연성파괴메커니즘으로 유도하여 확보하거나 - 낙교방지 대책 (전단키, 변위구속장치 등) 을 설치하여 확보한다. ..

"도로교 설계기준 2010" 과 "도로교 설계기준 2016"에 규정된 가동받침 이동량 산정을 정리하였다. 도로교 설계기준 2010 (강도설계법) 2.1.12 온도변화 2.4.1.3 가동받침의 이동량 ● 상부구조의 온도변화, 처짐, 콘크리트의 크리프 및 건조수축, 프리스트레스에 의한 탄성변형을 고려 ● 온도변화와 선팽창계수는 2.1.12의 규정을 따른다. ● 설치 오차와 하부구조의 예상 밖 변위 등에 대처할 수 있도록 여유량 고려 : 여유량 (±10mm) = 설치여유량 ±10mm + 부가여유량 ±20mm ● 콘크리트교의 건조수축과 크리프 영향에 의한 이동량 ● 추가적으로 활하중에 의한 거더 처짐으로 발생하는 이동량은 도로교 설계기준 2003을 참고 도로교 설계기준 2016 (한계상태설계법) 3.14 온도변..